맨위로가기

우즈베키스탄의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즈베키스탄의 행정 구역은 최상위 행정 구역인 12개의 주(빌로야트), 1개의 자치 공화국(카라칼파크스탄), 그리고 1개의 독립시(타슈켄트)로 구성된다. 이들은 다시 구(투만)와 주 직할 시로 나뉘며, 구는 읍과 촌락 시민 회로 세분화된다. 2021년 기준으로 총 175개의 구와 120개의 시가 있으며, 이 중 타슈켄트시는 특별시로, 31개는 주 직할 시, 88개는 구 직할 시이다. 우즈베키스탄의 행정 구역은 러시아 제국 시기 투르케스탄 총독부 관할, 소련 시기 우즈베크 SSR의 성립과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의 형태로 자리 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즈베키스탄의 행정 구역 - 타슈켄트
    타슈켄트는 우즈베키스탄의 수도이자 중앙아시아 최대 도시로, 실크로드의 중요한 교역 중심지였으며, 1966년 대지진 이후 소련 시대에 재건되어 현재 우즈베키스탄의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다.
  • 우즈베키스탄의 행정 구역 - 카라칼파크스탄
    우즈베키스탄 서부에 위치한 카라칼파크스탄은 "검은 모자를 쓰는 민족의 나라"라는 뜻을 가진 자치 공화국으로, 아랄해 환경 문제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우즈베키스탄 내 자치권 축소 시도로 시위가 발생하기도 했다.
우즈베키스탄의 행정 구역
개요
국가우즈베키스탄
수도타슈켄트
구성공화국, 주, 시, 군, 도시형 촌락, 키실락, 오울
행정 구역 단위
공화국카라칼파크스탄 공화국
안디잔 주
부하라 주
페르가나 주
지자흐 주
호라즘 주
나망간 주
나보이 주
카슈카다리야 주
사마르칸트 주
시르다리야 주
수르한다리야 주
타슈켄트 주
타슈켄트 (특별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
군 (district)우즈베크어: tuman, туман
시 (city)우즈베크어: shahar, шаҳар
도시형 촌락 (town)우즈베크어: shaharcha, шаҳарча
키실락 (village)우즈베크어: qishloq, қишлоқ
오울 (village)우즈베크어: ovul, овул

2. 행정 구역

우즈베키스탄의 최상위 행정 구역은 (viloyat, 복수형 ''viloyatlar''), 카라칼파크스탄 자치 공화국, 타슈켄트 독립시로 구성된다.[2] 주, 카라칼파크스탄 자치 공화국 및 타슈켄트는 다시 구(tuman, 복수형 ''tumanlar'')와 주 직할시로 나뉜다. 구는 구 직할 시, 읍 (샤하르차)(shaharcha) 및 촌락 시민 회(qishloq fuqarolar yig'ini)로 세분화된다.[2][3]

우즈베키스탄에는 1개의 자치 공화국, 12개의 주, 1개의 독립시가 있다.[2] 120개의 시 중 1개는 공화국 직할 시 (타슈켄트), 31개는 주 직할 시, 88개는 구 직할 시이다. 1,067개의 읍이 있다.[2]

하위 행정 구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주, 카라칼파크스탄 자치 공화국, 타슈켄트 독립시, 구 문단을 참고하라.

2. 1. 주 (Viloyat)

우즈베키스탄의 최상위 행정 구역은 주(州) (viloyat|빌로야트uz, 복수형 ''viloyatlar'')와 카라칼파크스탄 자치 공화국, 타슈켄트 독립시로 구성된다.[2] 2021년 기준으로 1개의 자치 공화국, 12개의 주, 1개의 독립시가 있다.[2]

카라칼파크스탄 자치 공화국 (자치 공화국)1612
안디잔 주1411
부하라 주1111
지자크 주126
카슈카다리야 주1312
나보이 주87
나망간 주128
사마르칸트 주1411
수르한다리야 주148
시르다리야 주85
타슈켄트 주1516
페르가나 주159
호레즘 주113
타슈켄트 (시)121
합계175120



우즈베키스탄의 주별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다.

No.명칭우즈베크어 명칭러시아어 명칭인구
(명, 2017년 1월 1일[13])
면적
(km²)
인구 밀도
(명/km²)
지구 수중심 도시
1타슈켄트 특별시ToshkentТашкент2,424,1003347,413--
2안디잔 주Andijon viloyatiАндижанская область2,962,5004200km268914안디잔
3부하라 주Buxoro viloyatiБухарская область1,843,50039400km24411부하라
4페르가나 주Farg'ona viloyatiФерганская область3,564,8006800km250916페르가나
5지자크 주Jizzax viloyatiДжизакская область1,301,00020500km26112지자크
6나망간 주Namangan viloyatiНаманганская область2,652,4007900km236911나망간
7나보이 주Navoiy viloyatiНавоийская область942,800110800km298나보이
8카슈카다리야 주Qashqadaryo viloyatiКашкадарьинская область3,088,80028400km210814카르시
9사마르칸트 주Samarqand viloyatiСамаркандская область3,651,70016400km221814사마르칸트
10시르다리야 주Sirdaryo viloyatiСырдарьинская область803,1005100km21889굴리스탄
11수르한다리야 주Surxondaryo viloyatiСурхандарьинская область2,462,30020100km212314테르메즈
12타슈켄트 주Toshkent viloyatiТашкентская область2,829,30015300km218515타슈켄트
13호레즘 주Xorazm viloyatiХорезмская область1,776,7006300km227510우르겐치
14카라칼파크스탄 자치 공화국Qoraqalpog'iston RespublikasiРеспублика Каракалпакстан
카라칼파크어: Qaraqalpaqstan Respublikası
1,817,500160000km21115누쿠스


2. 2. 카라칼파크스탄 자치 공화국

카라칼파크스탄 자치 공화국은 16개의 구와 12개의 시로 구성된다.[2] 2017년 1월 1일 기준 인구는 1,817,500명, 면적은 160000km2, 인구 밀도는 11/km2이다. 중심 도시는 누쿠스이다.[13]

명칭우즈베크어 명칭러시아어 명칭카라칼파크어 명칭
카라칼파크스탄 자치 공화국Qoraqalpog'iston RespublikasiРеспублика КаракалпакстанQaraqalpaqstan Respublikası


2. 3. 타슈켄트 독립시

타슈켄트우즈베키스탄의 수도이자 독립시로, 2017년 1월 1일 기준으로 인구는 2,424,100명이다.[13] 면적은 334km2이며, 인구 밀도는 7413/km2이다. 타슈켄트 독립시는 별도의 지구(구)로 나뉘지 않는다.

2. 4. 구 (Tuman)

우즈베키스탄의 주는 구(tuman|투만uz)와 주 직할 시로 나뉜다. 구는 다시 구 직할 시, 읍(shaharcha|샤하르차uz) 및 촌락 시민 회(qishloq fuqarolar yig'ini|키슐로크 푸카롤라르 이기니uz)로 세분화된다.[2][3]

2021년 기준으로 우즈베키스탄에는 175개의 구가 있다.[2]

카라칼파크스탄 자치 공화국16
안디잔 주14
부하라 주11
지자크 주12
카슈카다리야 주13
나보이 주8
나망간 주12
사마르칸트 주14
수르한다리야 주14
시르다리야 주8
타슈켄트 주15
페르가나 주15
호레즘 주11
타슈켄트12
합계175


3. 역사

1917년 10월 혁명 이전, 현재 우즈베키스탄 영토는 러시아 제국의 트란스카스피해, 사마르칸트, 시르다리야, 페르가나 주, 부하라 토후국, 히바 칸국의 종속 영토로 나뉘어 있었다. 1918년 투르케스탄 ASSR 수립 후, 부하라와 히바를 제외한 우즈베키스탄 영토가 이에 병합되었다.[4]

1920년 부하라, 호레즘 인민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1924년 민족 경계 획정으로 우즈베크 SSR이 수립, 사마르칸트가 중심지가 되었고, 타지크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우즈베크 SSR의 일부로 형성되었다.[5]

1929년 타지크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호젠트가 타지크 SSR로 분리되었다.[7] 1930년 타슈켄트가 우즈베크 SSR의 수도가 되었다.[8] 1936년 카라칼파크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우즈베크 SSR로 이관되었다.[9]

1991년 우즈베크 SSR은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으로 독립, 이후 행정 구역 명칭이 일부 변경되었다.

3. 1. 러시아 제국 시기 (19세기 말 ~ 1917년)

러시아 제국 시기(19세기 말 ~ 1917년) 현대 우즈베키스탄의 영토는 트란스카스피해, 사마르칸트, 시르다리야, 페르가나 주와 부하라 토후국, 히바 칸국의 종속 영토로 나뉘어 있었다.[4]

러시아 제국의 중앙아시아 정복에 따라 현재 우즈베키스탄 영역에는 사마르칸트주, 시르다리야주, 페르가나주의 3개 주가 설치되었으며, 이들 주는 타슈켄트에 설치된 '''투르케스탄 총독부'''에 의해 관할되었다.

부하라 아미르국히바 칸국도 러시아 제국의 보호국으로서 투르케스탄 총독부의 관할 하에 있었다.

3. 2. 소비에트 연방 시기 (1917년 ~ 1991년)

1917년10월 혁명 발발과 함께, 투르키스탄 총독부가 폐지되고, 소비에트 정권이 수립되었다. 1924년에는 민족 경계 획정 정책이 실시되어, '''우즈베크 SSR'''이 성립되어 현재 우즈베키스탄의 영역이 확정되었다.[4]

제라프샨부하라, 기지반, 케르민, 누르-아타
카슈카다르야벡부드, 구자르, 샤흐리시압즈
사마르칸트지자크, 카타-쿠르간, 사마르칸트, 호젠트
수르칸다르야바이순, 시라바드, 유르친
타슈켄트미르자-출, 타슈켄트
페르가나안디잔, 코칸트, 나망간, 페르가나, 카니아바담 지구
호레즘구르렌, 뉴-우르겐치, 히바, 슈라칸
타지크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고르노-바다흐샨, 가름, 두샨베, 쿨랴브, 쿠르간-튜빈, 펜지켄트, 우라-튜빈 주
케니메 지구
지역 권한 보유
없음


  • 1926년 주와 군 폐지. 10개의 오크루크(구)로 개편: 안디잔, 부하라, 제라프샨, 카슈카다르야, 사마르칸트, 수르칸다르야, 타슈켄트, 페르가나, 호젠트, 호레즘.[6]
  • 1929년 우즈베크 SSR에서, 타지크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과 호젠트가 분리되어, 타지크 SSR이 됨.[7]
  • 1930년 우즈베크 SSR의 수도가 사마르칸트에서 타슈켄트로 이전. 같은 해 오크루크 폐지.[8]
  • 1931년 우즈베크 SSR은 71개 라욘(구, 1494개 촌 소비에트)과 9개의 공화국 직할 도시(204개 촌 소비에트 관할)로 구성.[8]
  • 1935년 일부 라욘이 카슈카다르야 오크루크로 통합.[8]
  • 1936년 카라칼파크 ASSR이 러시아 SFSR에서 우즈베크 SSR로 이관됨.[9]
  • 1938년 부하라(수르칸다리야 구 포함), 사마르칸트, 타슈켄트, 페르가나, 호레즘 설치.[9]


구 및 지역 종속 도시
부하라베슈켄트, 부하라, 왑켄트, 기주반, 구자르, 데흐카나바드, 카간, 카마신, 카라쿨, 카르시, 카산, 케니메크, 케르미닌, 크질-테파, 키탑, 로메탄, 스베르들로프스크, 치라크친, 샤프리칸, 샤흐리사브즈, 야카바그, 부하라 시, 기주반 시, 카간 시, 카르시 시, 샤흐리사브즈 시
수르칸다리야 구
부하라 주 일부
바이순, 데나우스키, 자르-쿠르간, 사리-아시아, 테르메즈, 시라바드, 슈르치, 테르메즈 시
사마르칸트아크-다린, 불룬구르, 갈라-아랄, 잠바이, 자아민, 카라-다리야, 카타-쿠르간, 미탄, 나르파이, 누라타, 파이-아리크, 파스트-다르곰, 파크타코르, 사마르칸트, 우르구트, 파리쉬, 카티르치, 사마르칸트 시, 지자크 시, 카타-쿠르간 시
타슈켄트아크-쿠르간, 아칸-가란, 베고바트, 상 치르치크, 칼리닌, 미르자출, 하 치르치크, 오르조니키제, 파르켄트, 프스켄트, 중 치르치크, 하바스트, 치안즈, 얀기-율스키, 타슈켄트 시, 치르치크 시, 얀기-율 시
페르가나아임, 알티-아리크, 안디잔, 바그다트, 발릭치, 보로실로프, 잘랄-쿠두크, 이즈바스켄트, 카가노비치, 카산-사, 키로프, 코칸트, 쿠이비셰프, 레닌, 마르겔란, 마르카마트, 몰로토프, 나망간, 나린, 파프, 파크타-아바드, 스탈린, 타슐라크, 튜르-쿠르간, 우이친, 우치-쿠르간, 페르가나, 호지-아바드, 추스트, 얀기-쿠르간, 페르가나 시, 안디잔 시, 코칸트 시, 레닌스크 시, 마르겔란 시, 나망간 시, 추스트 시
호레즘굴렌, 코슈-쿠피르, 망기트, 우르겐치, 하자라스프, 한킨, 히바, 샤바트, 얀기-아리크, 우르겐치 시, 히바 시
카라칼파크 ASSR카라-우자크, 케게일린, 키프차크, 쿠이비셰프, 쿵그라드, 무이낙, 탐딘, 탁타-쿠피르, 투르트쿨, 호제일린, 침바이, 샵바즈, 투르트쿨 시, 누쿠스 시, 호제일리 시, 침바이 시


  • 1941년 안디잔과 나망간이 페르가나 주에서 분리, 수르칸다리야 구가 수르칸다리야 주로 변경.[9]
  • 1943년 부하라 주 일부가 카슈카다리야 주 일부로 편입.[9]


구 및 지역 종속 도시
안디잔아임, 알틴-쿨, 안디잔, 발릭치, 보로실로프, 잘랄-쿠두크, 이즈바스켄트, 레닌, 마르카마트, 파크타아바드, 스탈린, 칼디반베크, 호지아바드, 치나바드, 안디잔 시, 레닌 시
부하라알라트, 부하라, 왑켄트, 기주반, 카간, 카라쿨, 케니메크, 케르민, 크질-테파, 로메탄, 스베르들로프스크, 탐딘, 샤프리칸, 부하라, 기주반, 카간
카슈카다리야베슈켄트, 구자르, 데흐카나바드, 카마신, 카르시, 카산, 키탑, 코크-불라크, 미라킨, 치라크치, 샤흐리사브즈, 야카바그, 카르시 시, 샤흐리사브즈 시
나망간카산사이, 나망간, 나린, 파팔, 튜리아-쿠르간, 우이친, 우치-쿠르간, 추스트, 얀기-쿠르간, 나망간 시, 추스트 시
사마르칸트아크-다리야, 불룬구르, 갈라-아랄, 잠바이, 지자크, 자아민, 이시트칸, 카라-다리야, 카라-키실라크, 카타-쿠르간, 콤소몰스크, 쿠쉬라바드, 미탄, 나르파이, 누라틴스크, 파이-아리크, 파스트-다르곰, 파크타코르, 사마르칸트, 우르구트, 파리쉬, 카티르치, 사마르칸트 시, 지자크 시, 카타-쿠르간 시
수르칸다리야바이순, 데나우, 자르-쿠르간, 사리-아시아, 테르메즈, 우준, 시라바드, 슈르치, 테르메즈 시
타슈켄트아크-쿠르간, 아한-가란, 베고바트, 부킨, 상 치르치크, 칼리닌, 카라수, 미르자출, 하 치르치크, 오르조니키제, 파르켄트, 프스켄트, 중 치르치크, 시르-다리야, 타슈켄트, 하와스트, 차인즈, 얀기-율, 타슈켄트 시, 앙그렌 시, 베고바트 시, 치르치크 시, 얀기-율 시
페르가나알티-아리크, 아훈바바예프, 바그다드, 부바이드, 부아딜, 고르스, 카가노비치, 키로프, 코칸트, 쿠바사이, 쿠빈, 쿠이비셰프, 몰로토프, 소크, 타슐라크, 페르가나, 프룬젠, 페르가나 시, 코칸트 시, 마르겔란 시
호레즘굴렌스키, 코슈-쿠피르, 망기트, 우르겐치, 하자라스프, 한킨, 히바, 샤바트, 얀기-아리크, 우르겐치, 히바
카라칼파크 ASSR카라-우자크, 케게일린, 키프차크, 쿠이비셰프, 쿵그라드, 무이낙, 탁타-쿠피르, 투르트쿨, 호제일리, 침바이, 샵바즈, 투르트쿨 시, 누쿠스 시, 호제일리 시, 침바이 시


  • 1956년 헝그리 사막과 보스탄릭 지역 일부가 카자흐 SSR에서 우즈베크 SSR로 이관. 1963년 카자흐 SSR 침켄트와 크질-오르다 일부(36,600km²)가 우즈베키스탄에 할당.
  • 1960년 카슈카다리야 주와 나망간 주 폐지. 카슈카다리야는 대부분 수르칸다리야 주에, 나망간은 안디잔 주와 페르가나 주로 분할.[1]
  • 1963년 시르다리야 주 설립 (중심지: 얀기에르 → 굴리스탄).[1]
  • 1964년 카슈카다리야 주 복원.[1]
  • 1967년 나망간 주 복원.[1]
  • 1971년 우즈베크 SSR 시르다리야 주 일부(제티사이, 키로프, 파크타아랄 구)가 카자흐 SSR 침켄트 주로 이관.[12]
  • 1973년 지자크 주 설치.[1]
  • 1982년 나보이 주 설치.[1]


구 및 지역 종속 도시
카라칼파크 ASSR아무다리야, 베루니, 보자타우, 카라우자크, 케게일리, 쿵그라드, 레니나바드, 무이낙, 누쿠스, 탁타쿠피르, 투르트쿨, 호제일리, 침바이, 슈마나이, 엘리칼린, 투르트쿨 시, 누쿠스 시, 베루니 시, 타히아타시 시, 호제일리 시, 침바이 시
안디잔알틴쿨, 안디잔, 발릭치, 보즈, 잘랄쿠두크, 이즈바스칸, 콤소몰라바드, 레닌, 마르카마트, 모스크바, 파크타아바드, 호자아바드, 안디잔 시, 레닌 시, 소베타바드 시, 샤흐리칸 시
부하라알라트, 부하라, 왑켄트, 기주반, 카간, 카라쿨, 페슈쿤, 로미탄, 스베르들로프스크, 샤프리칸, 부하라 시, 기주반 시, 카간 시
지자크아르나사이, 바크말, 갈라랄, 지자크, 더스틀리크, 자아민, 자르바르, 미르자출, 옥탸브르, 파크타코르, 파리쉬, 지자크 시
카슈카다리야바호리스탄, 구자르, 데흐카나바드, 카마신, 카르시, 카산, 키탑, 무바레크, 니샨, 울리야노프, 우스만-유수포프, 치라크치, 샤흐리사브즈, 야카바그, 카르시 시, 카산 시, 키탑 시, 무바레크 시, 슈흐리사브즈 시
나보이카니메크, 키질테파, 나브바호르, 나보이, 누라틴, 탐딘, 우치쿠두크, 카티르치, 나보이 시, 자라프샨 시, 우치쿠두크 시
나망간자다리야, 카산사이, 나망간, 나린, 파팔, 투라쿠르간, 우이치, 우치쿠르간, 차르타크, 추스트, 얀기쿠르간, 나망간 시, 카산사이 시, 우치쿠르간 시, 차르타크 시, 추스트 시
사마르칸트아크다리야, 볼셰비크, 불룬구르, 잠바이, 이시트칸, 카타쿠르간, 코슈라바드, 나르파이, 파야리크, 파스트다르곰, 파크타치, 사마르칸트, 소베타바드, 우르구트, 사마르칸트 시, 악타시 시, 카타쿠르간 시, 우르구트 시
수르칸다리야알틴사이, 앙고르, 바이순, 가가린, 데나우, 자르쿠르간, 쿰쿠르간, 레니눌, 사리아시요, 테르메즈, 셰라바드, 슈르치, 테르메즈 시, 데나우 시
시르다리야아칼틴, 바야우트, 보로실로프, 굴리스탄, 일리체프, 콤소몰, 메흐나타바드, 시르다리야, 하바스트, 굴리스탄 시, 시르다리야 시, 시린 시, 얀기에르 시
타슈켄트아쿠르간, 아항가란, 베카바드, 보스탄릭, 부킨, 갈라빈, 칼리닌, 콤무니스트, 오르조니키제, 파르켄트, 프스켄트, 중-치르치크, 타슈켄트, 치나즈, 얀기율, 알말리크 시, 앙그렌 시, 아항가란 시, 베카바드 시, 나리마노프 시, 치르치크 시, 얀기아바드 시, 얀기율 시
페르가나알티아리크, 아훈바바예프, 바그다드, 부바이드, 키로프, 쿠빈, 레닌그라드, 리쉬탄, 타슐라크, 우즈베키스탄, 페르가나, 프룬제, 야지야반, 페르가나 시, 코칸트 시, 쿠바 시, 쿠바사이 시, 마르겔란 시
호레즘바가트, 굴렌, 코슈쿠피르, 우르겐치, 하자라스프, 한킨, 히바, 샤바트, 얀기아리크, 얀기바자르, 우르겐치 시, 굴렌 시, 드루즈바 시, 한카 시, 히바 시, 샤바트 시
타슈켄트 시아크말-이르카모프, 키로프, 쿠이비셰프, 레닌, 옥탸브르, 사비르-라키모프, 세르게리, 프룬제, 함자0, 칠란자르


3. 3. 우즈베키스탄 공화국 시기 (1991년 ~ 현재)

1988년 9월 6일, 지자크주와 나보이주가 폐지되었다. 전자는 시르다리야주에 통합되었고, 후자는 사마르칸트주에 편입되었다. 1989년 5월, 구 나보이주의 대부분이 부하라주로 이관되었다. 그러나 지자크주는 1990년 2월에, 나보이주는 1992년에 복원되었다.[9]

우즈베크 SSR이 독립하여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이 된 후, 카라칼파크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카라칼파크스탄 공화국으로 개칭되었다. 또한, 주는 빌로야트(region)로, 라욘은 투만(district)으로 변경되었다. 1990년대 초, 소비에트 이념적 명칭을 사용하던 우즈베키스탄의 여러 지역과 도시들이 개칭되었다. 우즈베키스탄의 행정 구역상 마지막(2012년 기준) 주요 변경은 1999년 양기아바드 구가 시르다리야 지역에서 지자크 지역으로 이관된 것이다.

  • 1991년 소비에트 연방에서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이 독립.
  • 1992년 나보이주가 재설치. 카라칼파크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카라칼파크스탄 공화국으로 개편.

참조

[1]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Uzbekistan https://lex.uz/docs/[...] LexUZ-online 1992-12-08
[2] 웹사이트 Oʻzbekiston Respublikasining maʼmuriy-hududiy boʻlinishi https://api.stat.uz/[...] The State Committee of the Republic of Uzbekistan on statistics 2021-07
[3] 웹사이트 Classification system of territorial units of the Republic of Uzbekistan https://stat.uz/uplo[...] The State Committee of the Republic of Uzbekistan on statistics 2020-07
[4] 서적 Большая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БСЭ 1949-1960
[5] 서적 Большая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БСЭ 1949-1960
[6] 서적 Территориальное и административное деление Союза ССР (на 1 января 1926 года) http://resource.hist[...] Изд-во ГУКХ НКВД: [тип. МКХ им. Ф. Я. Лаврова] 1926
[7] 서적 Большая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БСЭ 1949-1960
[8] 서적 Административно-территориальное деление Союза ССР [с изменениями с 15 нояб. 1930 по 1 окт. 1931 г.] : Районы и города СССР http://elib.shpl.ru/[...] Изд-во «Власть советов» при Президиуме ВЦИК 1931
[9] 간행물 Изменение административно-территориального деления союзных республик http://geo.1septembe[...]
[10] 서적 СССР: Административно-территориальное деление союзных республик (на 1 октября 1938 года) http://istmat.info/n[...] «Власть Советов» 1938
[11] 서적 СССР. Административно-территориальное деление союзных республик (на 1 января 1947 года) http://istmat.info/n[...] Известия Советов депутатов трудящихся СССР 2020-02-19
[12] 서적 СССР: Административно-территориальное деление союзных республик (на 1 июля 1971 года) Известия Советов депутатов трудящихся СССР 1971
[13]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www.citypopul[...] 2017-11-30
[14] 문서 中華人民共和国の特別行政区
[15] 문서 ヨーロッパ
[16] 문서 アフリカ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